자동차 엔진 오일은 엔진 내부 부품들을 윤활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 엔진 오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교환비용
엔진오일을 가장 저렴하게 교환하는 법은 인터넷쇼핑몰에서 차종에 맞는 엔진오일 구입 후 공임비를 지불하고 교환하는 것이
가장 저렴 합니다. 엔진오일 교체 공임비용은 하기 표를 참조하세요.
자동차 엔진오일 유종(Viscosity):
엔진 오일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작을수록 더 얇고 숫자가 클수록 더 끈적입니다. 점도는 주행 환경과 기온에
따라 다릅니다.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특정 점도의 엔진 오일을 권장하므로 차량 운전설명서를 참고하여 적절한
유종을 선택해야 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등급(Classification):
엔진 오일 등급은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와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표시됩니다. API 등급은 엔진 오일의 성능과 품질을 나타내는데, "S" 뒤에 붙는 알파벳은 오일의 성능과 보호 등급을
나타내며, SAE 등급은 엔진 오일의 점도를 나타내며, 점도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나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부가 기능(Additives):
엔진 오일은 부식, 녹슬음, 마모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부가 기능이 첨가됩니다. 이러한 부가 기능은 냉각, 청소, 연료 경제성,
노킹 방지 등의 역할을 합니다. 각 제조사는 자사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부가 기능을 첨가하며, 이러한 부가 기능은 엔진 오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주기(Change interval):
엔진 오일 교체 주기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주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개 5,000km에서 10,000km 사이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주행 환경에 따라 교체 주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운전설명서를 참고하여 적절한
교체 주기를 결정해야 합니다.
유출 및 오염 방지(Leakage and Contamination prevention):
엔진 오일은 오염물질과 먼지, 물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데, 이를 위해 오일 필터, 오일 캡 등의 부속적인 부품들이 사용됩니다.
또한, 엔진 오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 팬, 오일 실, 밸브 커버 등의 부품들이 설치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종류:
자동차 엔진 오일은 기본적으로 광물유와 합성유로 나뉩니다. 광물유는 석유에서 추출되며,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일반적인 운전 상황에서도 충분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반면에 합성유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오일로, 광물유에 비해 높은 점도
안정성과 냉각 성능, 오래 사용 가능한 수명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광물유에 비해
비교적 적게 사용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용량 :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각 차량의 엔진 크기와 종류에 따라 권장되는 최소 엔진 오일 양을 정해놓았습니다. 이 권장 양을 넘어서
오일을 추가하거나, 너무 적게 사용할 경우에는 엔진 부품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권장되는 양을 준수해야 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유출 감지(Leak detection):
엔진 오일이 유출될 경우, 이는 차량의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일부 차량에서는 엔진 오일
유출 감지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엔진 오일 수위 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오일이 유출될 경우
경고등을 켜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자동차 엔진오일 관련 고장 증상:
자동차 엔진 오일이 부적절하게 사용되거나, 오랫동안 사용되어 노후되면 다양한 고장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엔진 노이즈: 엔진 내부 부품 간 마찰을 감소시켜 엔진 내부 부품의 마모를 줄이는 기능을 가지는 엔진 오일이
충분하지 않거나 노후되어 감소된 경우, 엔진 내부 부품 간 마찰이 증가하여 엔진 노이즈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가속력 저하: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이 증가하면, 엔진 출력이 감소하여 가속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3. 연료 효율 저하: 엔진 내부 부품의 마찰이 증가하면, 연료 효율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연비가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4. 연기: 엔진 오일이 노후되거나, 부적절하게 사용되어 오일 내에 불순물이 증가하는 경우,
엔진 내부에서 연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냉동점 낮아짐: 엔진 오일이 노후되면, 냉각능력이 감소하여 냉동점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추운 날씨에서
차량을 이용할 때 오일이 얼어붙어 차량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오일 유출: 엔진 오일이 고장이나 파손, 마모 등으로 인해 유출될 경우, 엔진 내부 부품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일 유출로 인해 차량의 성능 저하 및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엔진 오일 고장 증상들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엔진 오일의 교체 주기를 준수하고, 적절한 엔진 오일을 선택하며, 오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지보수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